2013. 3. 23.

발뒤꿈치에 발각질이 생기고 발각질이 갈라져서 아프면


발뒤꿈치 각질

날씨가 건조 해 지면 발뒤꿈치 각질이 생기고 발각질이 갈라져서 균열이 일어나 아풉니다. 매년 겨울이 되면 발뒤꿈치각질이 생겨 균열이 일어나 아프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이 계십니다. 발뒤꿈치각질이 두꺼워져, 딱딱해지고, 균열이 생겨 아풉니다. 속돌로 발각질을 갈거나 요소가 들어간 연고를 바르거나 해도, 좋아지지 않는다고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날씨가 따뜻해지면 발각질이 다스려지고, 아프지도 가렵지도 않습니다. 여름이라도, 겨울에 균열을 일으키는 부위를 자세히 진찰하면, 조금 허엿게 벗겨져 있는 각질이 붙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겨울이라도 발각질이 생겨 발각질 갈라진 주위에는 각질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례의 상당수는 무좀입니다.
전혀 가렵지 않은데 무좀입니까? 의심도 하지만 사실 무좀은 거의 가렵지 않은 병입니다. 1년간을 통해서 보면, 따뜻한 계절에 가려워지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거의 대부분 기간은 가려움을 느끼지 않습니다. 게다가, 더운 계절이라도 가려운 부위는 각질이 얇은 곳이 많아, 발뒤꿈치와 같이 각질이 두꺼운 곳에서는 1년중 거의 가려움을 느끼지 못 합니다. 
그러나, 무좀의 원인인 무좀균은 각질 속에 1년 내내 잠복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에 「여름이 오고 가려움을 느끼게 되면 무좀이 있었던 것을 기억하게 」됩니다. 

겨울철 발뒤꿈치의 무좀이, 여름이 되면 발각질이 부드러워져서 겨울의 균열로 인한 아픔을 잊어 버립니다.
여름에는 발뒤꿈치에 각질이 조금 씩 붇어 있다가 겨울이 되어 발각질이 두터워지고 균열을 일으키는 사람은 거의 발무좀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발뒤꿈치의 각질이 생겨 갈라지는 원인은 무좀 외에도 있습니다. 그러나 무좀균의 유무를 조사하지 않으면 정확한 진단은 불가능합니다. 겨울이라도, 발뒤꿈치의 갈라짐 주위가 희게 벗겨져 있는 각질 정도나 부위를 세심하게 검사 해 현미경으로 조사하면 무좀균이 발견됩니다.



발뒤꿈치 각질 원인

1. 피부 건조증
발부위는 피지분비가 적고 항상 건조한 상태랍니다
그래서 피부 건조증과 함께 수분부족 현상으로 인해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쌓인 발각질들이 떨어져 나가지 않게 됩니다. 
발각질제거를 한뒤는 유분이 많은 로션 대신 충분한 보습을 줄수잇는 푹크림을 사용해 보습을 유지해주세요
그래야 발각질없이 매끈매끈한 발이 유지될 수 있답니다.


2. 외부노출에 의한 발각질
양말을 신지 않고 활동할 경우 마찰과 손상이 심해져 오랫동안 방치하게 되면 발각질층이 더욱 두꺼워지게 됩니다.
발각질층이 두꺼워진 발은 세균번식이 활발해 발에서 발냄새까지 날 수 있답니다.


3. 물리적 자극에 의한 각질
물리적 자극을 받게되면 인체는 스스로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각질층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서 발각질층은 더 쌓여 발 뒤꿈치 굳은살이 됩니다.
특히 각질층은 몸무게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서 발바닥 뒤쪽부터 두꺼워지는데 발에 무리를 주는 신발로 인해 악화가 될수도 있습니다
특히 앞코가 뾰족하고 굽이 높은 구두는 발가락 사이에 티눈을 생기게 할 염려가 있고 발뒤꿈치에 굳은살을 만들기 쉽습니다.


발뒤꿈치각질의 치료

발뒤꿈치각질의 치료는 항진균류의약을 내복하는 것이 지름길입니다. 
항진균류의약은 외용도 병용 합니다만, 외용약 단독으로는 완치 할 수 없습니다. 
항진균류약을 내복하면 2개월 후 정도 지나면 발뒤꿈치의 발각질이 상당히 부드러워집니다. 발뒤꿈치 각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3, 4개월간 내복하지 않으면 완치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장기간 발관리를 지속 해 주어야 합니다
무좀균은 대부분, 발가락 사이부터 감염합니다. 그리고 발뒤꿈치 쪽으로 향해 매년 조금씩 퍼져 갑니다. 뒤꿈치에 도달하는데 수년이 걸리므로, 나이먹을수록 발뒤꿈치각질이 갈라짐을 많이 호소하는 사람이 증가하는 것은 당연한 것 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