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좀관리]무좀의 증상과 진단
피부 사상균이라고 하는 일종의 곰팡이(진균류)에 의해서 생기는 감염증입니다.
생기는 장소에 의해 각각 통칭이 있습니다.
발에는 족부백선, 발톱,손톱에는 조갑백선, 사타구니에는 완선, 몸은 체부백선, 머리에는 두부 백선입니다.
백선균은 곰팡이이므로 고온 다습한 곳을 좋아해, 각질이라고 하는 피부의 단백을 영양원으로 하기 때문에, 발뒤꿈치, 발가락의 사이 등이 백선균에 있어서 가장 살기 쉬운 장소가 됩니다.
통상은, 피부의 표면에 감염합니다만, 가끔 머리의 털로부터 피부 속에 파고 들어가, 광범위하게 곪고 탈모를 초래하는 켈수스독창이라고 하는 심 재성의 두부 백선이 생기기도 합니다.
[무좀관리]
증상 부위에 의해 특징이 있습니다.발무좀에서는, 발바닥, 발가락의 사이가 호발부위입니다만, 발가락의 사이가, 하얗게 짓므르고 허믈이 벗겨지는 습기찬 지간형, 발바닥에 작은 수포가 생긴 뒤 꺼칠 꺼칠한 얇은 막이 벗겨지는 수포형, 발바닥이 꺼칠 꺼칠하고 두꺼워지고 균열이 생기는 각화형 등이 있습니다.
무좀에 걸리면 가렵다고 생각하지만, 실은 가려움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발톱 무좀에서는, 발톱이 백색에서 황색으로 탁해지면서, 두꺼워집니다.
사타구니에 나타나는 완선이나 체부백선에서는, 붉은 색의 반점이 점점 원을 이루고 주위에 퍼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보통은 가려움이 있습니다.두부백선에서는, 두피가 꺼칠꺼칠 하고 탈모가 됩니다.모낭 깊숙히 균이 들어가면 켈수스독창이 되어, 농포, 염증을 수반하게 되어, 방치하면 영구 탈모가 될 수 있습니다 .케르즈스독창은, 아이가 개나 고양이와 놀아 옮긴 균에 의해 자주 생길 수 있습니다.
[무좀관리]
진단
피부발진 상태를 보고 진단합니다만, 확정 진단을 위해서는, 피부의 표면의 무좀균이 있는 것을 현미경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예를 들면, 발에 피부발진이 있으면 무좀이라 믿고 무좀 약을 바르는데 ..발라도 낫지 않는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데....,
발의 피부병에도 여러가지가 있어, 무좀과 비슷한 장척농포증이나 한포진 등과 같은 병이 있다는 것을 이해해 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관련정보 보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