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2. 9.

[무좀관리]무좀인지 아닌지 분별하는 방법


무좀인지 아닌지 분별하는 방법은요?

무좀인지 아닌지,「분별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피부과 전문의라도, 봐서 판단하기는 어려울 정도로 힘든 병입니다.
무좀의 원인은, 곰팡이(진균류)의 일종인 「무좀균〔백선균〕」입니다만, 이것이 피부에 존재하는 지를 현미경으로 검사를 해, 무좀균이 있는 것이 확인되면, 「무좀」이라고 진단하게 됩니다.

발가락의 사이 피부가 벗겨지는데, 가려움은 없습니다.
이것도 무좀입니까?

무좀일지도 모릅니다, 그러나,다른 병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무좀인 경우는, 「지간형」이라고 하는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무좀 타입 입니다.그러나, 같은 증상에서도, 무좀균 이외의 곰팡이(진균류)가 원인의 경우나, 홍색음선라고 하는 세균에 감염된 경우도 있습니다.피부과에서 검사를 하고, 무좀균이 있는지 검사 받으시기 바랍니다. 

발에 작은 물집이 생기고, 피부가 벗겨 집니다.무좀과 관계 있습니까?

무좀이면, 「수포) 형」이라고 불리는 무좀 타입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한포진」이나 「장척농포증」이라고 하는 다른 병의 경우도, 똑같이 물집이 생기거나 피부가 벗겨지거나 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무좀인지 어떤지를 알고싶으시면, 피부과에서 검사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발의 피부가, 다른 부분보다 두꺼워진 곳이 있습니다. 무좀과 관계 있습니까?

무좀 종류 중에서 「각화형」이라는 무좀타입은, 발뒤꿈치의 피부가 두껍고 딱딱해지는 증상 입니다.
단지, 나이가 들수록 각질이 딱딱해지거나, 다른 병의 원인으로 그러한 증상이 있는 경우가 있으니 피부과에서 검사를 해 보세요.

발톱이 희어지고 있습니다, 무좀과 관계 있습니까?

무좀균은 발뒤꿈치나 발가락 사이 뿐만이 아니라, 발톱에도 침입합니다.발톱에 생긴 무좀을, 특히 「조백선」혹은 「발톱무좀」이라고 합니다.
처음은 발톱이 희게 그리고 탁해져, 발톰이 울퉁불퉁 하거나 빠지거나 합니다.먼지나 세균등이 침투해서, 황갈색이나 흑갈색이 되기도 합니다.
발톱이 희어지는 경우는, 이 발톱무좀의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피부과에서 진찰해, 검사를 받아 보세요.

발뒤꿈치가 딱딱하게 금이 가 있습니다.무좀과 관계 있습니까?

나이를 먹으면, 발뒤꿈치의 각질이 딱딱 해지고, 때로는 건조해서 균열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그러나,「각화형」이라고 불리는 타입의 무좀의 경우도, 똑같이 발뒤꿈치나 발뒤꿈치의 피부가 딱딱하게 각질이져, 각질이 벗겨지거나 갈라지는 증상이 있습니다.
이 타입의 무좀은, 가려움은 없습니다.나이 탓이라고 믿고 방심하다 무좀을 놓치기도 하기 때문에, 한 번 피부과에 검사를 하고, 무좀균이 있는지, 검사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병원·의원에서는, 무좀에 어떤 검사를 하는 것입니까?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것은, 증상이 있는 부분의 각질을, 핀셋이나 메스등에서 약간 떼어내어, 가성칼리 용액이라고 하는 약품으로 이것을 녹여, 현미경으로 보고, 무좀균을 찾는 방법입니다.

관련정보 보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